뇌졸중 환자나 일반 노인들의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일어나 걷기 검사(이하 TUGT)는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입니다. 일반적으로 한가지의 방법만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총 3가지의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UG 검사의 종류와 검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UG 검사(Timed Up and Go Test)란?
TUGT는 평가하고자 하는 환자나 노인의 동적 균형 능력 및 보행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동적인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이동성(Mobility)과 독립성을 검사할 수 있기에 신뢰도가 타당도가 높은 검사 중 하나입니다.
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은 평가하고자 하는 환자나 노인이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3미터 지점에 콘(Corn)이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물건을 놓습니다. 그리고 검사자가 ‘시작’이라는 지시를 내리면 의자에서 일어나 3미터 지점을 돌아 다시 의자에 앉기까지의 시간을 기록하면 되는 것입니다.
단순히 일어나 걸어서 앉기까지의 동작을 하는 것이 아닌 3미터 지점에서 돌아와야 하기 때문에 회전요소가 가미되어 동적인 균형능력 및 이동성을 함께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 특이적인 평가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TUG 검사를 위한 준비물
- 팔걸이가 있는 의자 – TUG 검사 시 팔걸이가 있는 의자를 필요로 합니다. 팔을 집지 않고는 일어나지 못하는 환자들을 위해서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그렇다고 아무런 의자를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표준화된 의자의 규격으로는 의자의 높이 46cm, 팔걸이의 높이 65cm로 제한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제한을 두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우리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려고 할 때 의자의 높이가 높으면 높을수록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의자의 높이가 낮을수록 일어나는데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준화된 검사를 위해 높이를 규격화 한 것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시간을 잴 수 있는 스탑워치 – TUG 검사는 앉은자세에서 일어나 되돌아 오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검사이기 때문에 시간을 잴 수 있는 스탑워치가 필요합니다.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어떤 검사 방법보다 객관적으로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콘(Corn) – TUG 검사 자체가 3미터의 거리를 되돌아와야 하기 때문에 3미터 지점을 표시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콘(Corn)이라고 작성은 하였지만 다른 물건으로 대체하여도 상관없습니다.
- 물과 물을 담을 수 있는 컵과 선반 – 물과 물컵은 일반적인 검사를 할 때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TUG 검사 중 하나인 Manual 평가를 할 때 필요한 준비물입니다. Manual 검사까지 필요하지 않다면 물과 물컵은 준비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TUG 검사의 종류와 평가 방법
TUG 검사는 총 3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TUG Alone, TUG Cognitive, TUG Manual 방법입니다.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어느정도 TUG 검사에 대해 알고 계시는 분들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일반적으로 흔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TUG Alone 검사입니다. 이것도 잘 모르시겠다고요? 그럼 지금부터 종류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과 평가 시 지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UG Alone
TUG 검사를 말할 때 가장 대표적인 평가 방법입니다. TUG Alone의 평가 시 평가자가 알아두어야 할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피검사자를 의자의 높이 45cm, 그 65cm의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게 합니다.
2. 평가자는 3미터 지점을 손으로 가리킨 후 피검사자에게 “자 지금부터 제가 시작이라고 말을 하면 의자에서 일어나 저기 표시된 지점을 돌아오셔서 의자에 다시 앉아주시면 됩니다”라고 설명합니다.
3. 처음 연습의 목적으로 1회를 실시합니다.
4. 피검사자가 방법에 대해 완전히 숙지가 되었다면 본 검사를 시행합니다.
5. ‘시작’이라는 구령과 함께 스탑워치를 작동합니다.
6. 피검사자가 의자에 완전히 앉으면 스탑워치를 중지하고 시간을 기록합니다.
7. 총 3회 실시하고 시간을 기록하여 평균을 내어 기록합니다.
TUG Cognitive
TUG 검사 중 두번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의 큰 틀은 TUG Alone 방법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Cognitive(인지) 적인 요소가 추가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인지 검사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거창한 부분이 추가된 것은 아닙니다. 단지 숫자의 셈을 추가하는 것인데요. 피검사자에게 20에서 100까지의 숫자 중 하나를 지정하여 그 숫자에서 거꾸로 세는 방법이나 -3을 계속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요구를 하면 됩니다. 검사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피검사자를 의자의 높이 45cm, 그 65cm의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게 합니다.
2. 피검사자에게 20에서 100까지의 숫자 중 원하는 숫자를 말하게 합니다. 90을 선택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3. 평가자는 3미터 지점을 손으로 가리킨 후 피검사자에게 “자 지금부터 제가 시작이라고 말을 하면 의자에서 일어나 저기 표시된 지점을 돌아오셔서 의자에 다시 앉아주시면 됩니다”라고 설명합니다.
4. 제가 ‘시작’ 이라고 하면 90에서 3을 계속 뺀 숫자를 말하면서 돌아오시면 됩니다. 라고 설명합니다. 만약 피검사자가 뺄셈을 하지 못한다면 90부터 하나씩 빼서 말하게 합니다.(예, 90, 89, 88, 87,……)
5. 처음 연습의 목적으로 1회를 실시합니다.
6. 피검사자가 방법에 대해 완전히 숙지가 되었다면 본 검사를 시행합니다.
7. ‘시작’이라는 구령과 함께 스탑워치를 작동합니다.
8. 피검사자가 의자에 완전히 앉으면 스탑워치를 중지하고 시간을 기록합니다.
9. 총 3회 실시하고 시간을 기록하여 평균을 내어 기록합니다.
TUG Manual
TUG 검사 중 마지막 방법은 TUG Manual 이라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존 방법과는 달리 물과 물컵이 필요합니다. 물론 검사를 하는 방식은 기존에 하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한가지 수행요소가 추가가 되는데요. 바로 물컵을 가져와서 앉는 것이 추가됩니다.
검사를 위한 세팅은 3미터 지점에 선반을 놓고요. 선반 위에 물이 담긴 물컵을 올려놓습니다. 컵에 담긴 물의 양은 가득 찬 상태에서 1~2cm 정도 낮은 수위를 유지하면 됩니다. 이렇게 준비가 되었다면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검사자를 의자의 높이 45cm, 그 65cm의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게 합니다.
3. 평가자는 3미터 지점에 있는 선반을 가리킨 후 “자 지금부터 제가 시작이라고 말을 하면 의자에서 일어나 선반 위에 있는 물컵을 가져와서 앉으시면 됩니다”라고 설명합니다.
4. 물컵에 물이 많이 담겨 있기 때문에 최대한 흘리지 않게 가져오셔야 합니다. 라고 말합니다.
3. 처음 연습의 목적으로 1회를 실시합니다.
4. 피검사자가 방법에 대해 완전히 숙지가 되었다면 본 검사를 시행합니다.
5. ‘시작’이라는 구령과 함께 스탑워치를 작동합니다.
6. 피검사자가 의자에 완전히 앉으면 스탑워치를 중지하고 시간을 기록합니다.
7. 총 3회 실시하고 시간을 기록하여 평균을 내어 기록합니다.
TUG 검사 결과 해석 방법
이렇게 TUG 검사의 3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3가지 방법들이 다른 듯 하지만 거의 비슷한 형식의 검사 방법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스탑워치를 활용하여 시간을 기록한다는 것이 공통점인데요. 그렇다면 측정된 시간을 갖고 어떠한 판정을 내릴 수 있을까요? 각각의 방법에 따라 정상 범주로 보는 시간이 다릅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 TUG Alone – 13.5 초 안의 시간으로 측정이 되었다면 정상 범주로 볼 수 있습니다.
- TUG Cognitive – 15초 안의 시간으로 측정이 되었다면 정상 범주로 볼 수 있습니다.
- TUG Manual – 14.5초 안의 시간으로 측정이 되었다면 정상 범주로 볼 수 있습니다.
TUG 검사 시 주의할 점
스탑워치를 이용하여 시간만 기록하는 평가 방법이기 때문에 아주 간단하고 객관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그래도 주의해야 할 점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생소함으로 인한 낙상의 가능성을 차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TUG 검사의 탄생 목적이 노인들의 동적 균형 능력 및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함입니다. 아무래도 노인들은 낙상에 대한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처음 수행하는 검사를 진행한다면 그 어떤 때보다 더욱 유의있게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두번째로는 워커나 지팡이와 같은 보조도구를 사용하여 걷는 환자들의 특이사항을 잘 기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평가를 하는 목적은 치료 전후의 비교 목적으로 하는 경우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TUG 검사를 할 때 독립적으로 걸어서 평가를 했는지, 혹은 보조도구를 활용하여 평가를 했는지에 대한 기록이 없다면 다음에 재평가를 할 때 직접적인 전후 비교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기록을 해두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TUG 검사에 대한 종류와 평가방법 그리고 결과 해석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접근하기 아주 쉬운 방법이지만 올바른 방법으로 시행을 해야 오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평가 절차에 대해 꼭 잘 숙지하면 좋겠습니다. 부족한 글이지만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끝.
핑백: Functional Balance Grade에 대해 알아보기